금융IT 용어사전

home(코스콤) 뉴스룸 금융IT 용어사전

금융IT 용어를 중심으로 IT용어사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용어사전은 용어명, 풀이, 설명으로 구성됩니다.

용어사전 검색

검색을 원하시는 초성을 선택해 주십시오

검색

영문

  • 포지티브 규제Positive Regulation

    더보기

    법률,정책상으로 허용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나열한 뒤 나머지는 모두 금지하는 방식의 규제를 뜻한다. 반대로....

    법률,정책상으로 허용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나열한 뒤 나머지는 모두 금지하는 방식의 규제를 뜻한다. 반대로 네거티브(negative) 규제는 법률,정책상으로 금지한 행위가 아니면 모든 것을 허용하는 것을 가리킨다. 포지티브 규제는 네거티브 방식보다 규제 강도가 훨씬 세고, 새로운 기술 발전을 수용하기에는 비탄력적인 체계이므로, 겸영할 수 없는 업무를 열거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포지티브 스크리닝Positive screening

    더보기

    ESG 투자전략으로 테마 투자(Thematic investing),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

    ESG 투자전략으로 테마 투자(Thematic investing),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ing), 베스트인클래스 투자(Best-in-class investing)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우며, 네거티브 스크리닝과 달리 적극적으로 ESG를 평가하여 ESG 평가 결과가 우수한 기업체, 펀드, 부동산,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전략이다.

  • 포트 주소Port Address

    더보기

    포트 주소(Port Address)는 주소는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며, 호스트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구분....

    포트 주소(Port Address)는 주소는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며, 호스트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구분해준다. TCP와 UDP가 독립적으로 포트 주소를 관리하며, 포트 번호 또는 소켓 주소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더보기

    계층 5까지는 주로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내용을 다루지만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은....

    계층 5까지는 주로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내용을 다루지만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은 데이터의 의미(Semantic)와 표현 방법(Syntax)을 처리한다. 즉, 통신 양단에서 서로 이해할 수 있는 표준 방식으로 데이터를 코딩(Coding)하는 문제를 다룬다. 호스트의 데이터 표현 방법이 서로 다르면 상대방의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전자상거래가 활발해지면서 보안의 중요성이 강조되는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기술도 표현 계층에서 다룬다. 또한 영상 정보 같은 대용량 데이터의 크기를 줄여주는 압축도 표현 계층의 주요 기능이다.  

  • 프라이버시 강화 컴퓨테이션PEC, Privacy Enhancing Computation

    더보기

    PEC는 분석 전 데이터 변환, 분산 방식을 통한 처리 및 분석, 하드웨어 단계에서의 안전한 실행 환경 ....

    PEC는 분석 전 데이터 변환, 분산 방식을 통한 처리 및 분석, 하드웨어 단계에서의 안전한 실행 환경 등을 제공해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기술이다. 데이터 변환은 데이터 분석 이전에 데이터 및 알고리즘 자체를 변환함으로써 개인정보 유출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로 최근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수많은 데이터와 정보가 클라우드 앱으로 공유되면서 데이터 변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 프로그램가능화폐프로그램가능화폐

    더보기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에 사전에 합의된 스마트계약을 프로그램화해서 조건이 충족되면 계약대로 자동 실행되....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에 사전에 합의된 스마트계약을 프로그램화해서 조건이 충족되면 계약대로 자동 실행되는 기능을 갖춘 디지털화폐를 말한다. 가령 주문한 상품이 도착하면 디지털화폐가 자동으로 판매자에 송금돼 지급결제가 완료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프로그램가능화폐의 기능이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전자화폐의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다. 다만 이와 같은 기능을 은행 등 제3자인 중개기관을 통해 의뢰할 때만 이용 가능했지만, 프로그램가능화폐는 중개기관을 거치지 않고 스마트계약을 탑재할 수 있는 P2P 방식으로 직접 실시간 송금하는 것이 가능해져 거래의 효율성이 제고된다는 점이 다르다.

  • 프로세스 마이닝Process mining

    더보기

    정보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 로봇이 기록한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고, 발생했던 실제 프로세스 흐름을 자동으로 ....

    정보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 로봇이 기록한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고, 발생했던 실제 프로세스 흐름을 자동으로 시각화함으로써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전체적인 모습을 빠르고 객관적으로 파악하도록 도와주는 새롭고 흥미로운 기술.

  • 프리마켓Pre-market

    더보기

    정규 거래소 개장 전에 주식, 채권, ETF 등 금융 자산을 거래할 수 있는 시간 외 시장이다. 일반적으....

    정규 거래소 개장 전에 주식, 채권, ETF 등 금융 자산을 거래할 수 있는 시간 외 시장이다. 일반적으로 개장 전 기업 실적 발표, 경제 지표 발표 등에 따라 주가가 큰 폭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아 시장의 방향성을 조기에 파악할 수 있다.특히 2025년부터는 넥스트레이드의 프리마켓이 오전 8시부터 8시 50분까지 운영되며, 이는 기존 정규시장 시작 전 투자자들이 사전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해당 시간대에는 기업 뉴스, 글로벌 경제 이벤트, 지정학적 리스크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한 선제적 매매가 가능하다.프리마켓은 글로벌 투자 환경에서 실시간 대응력과 전략적 유연성을 높여주며, 기관 및 개인 투자자들이 주요 투자 결정을 앞당길 수 있게 한다. 다만 거래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스프레드가 넓을 수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 핀테크 4.0핀테크 4.0

    더보기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전통 은행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핀테크 스타트업이 등장하기 시작하고 중국과 인도 ....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전통 은행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핀테크 스타트업이 등장하기 시작하고 중국과 인도 등 신흥 시장에서 빠른 디지털 금융 솔루션을 수용해서 디지털 금융 서비스의 세계화가 진행된 핀테크 3.0 시대에 이어 핀테크 4.0 시대에는 블록체인과 오픈뱅킹 등 파괴적 기술이 금융 서비스 혁신을 주도하여 네오뱅크와 같은 새로운 금융 서비스 모델이 등장. 핀테크 기술은 1860년대에 처음 시작되었으며, 주요 혁신은 금융 거래의 서명 검증이었고 이후 1950년대 신용카드의 등장으로 현대적 경향의 핀테크가 시작되었으며 Diner's Club과 American Express가 주도하였으며 1970년대에는 NASDAQ의 설립과 함께 전자적 금융 시장의 기초가 마련. 최신 핀테크 기술로는 인공지능, 머신러닝,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금융 서비스의 효율성, 지능성 및 보안성을 강화하고 AI와 머신러닝을 금융, 규제, 중앙은행에 적용하여 금융 서비스를 자동화하고 위험 관리를 향상시키고 있음. 한편 핀테크 4.0 시대 한국에서는 금융 서비스의 디지털화와 자동화를 통해 기존 금융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데이터 분석과 AI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개인에게 최적화된 금융 경험을 제공하며, 마이데이터, 오픈뱅킹과 같은 혁신적 금융 정책이 이 변화를 가속화하며 금융 규제 샌드박스와 같은 새로운 규제 접근법으로 시장에서 새로운 금융 서비스의 안전한 시험을 가능하게 하며 디지털 자산 관리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으며, 파괴적 기술이 금융 서비스를 혁신하고 있음. 출처:Vinod Sharma's Blog-The Ultimate Intuitive Guide to FinTech Intelligence(vinodsblog.com)

  • 핀테크 랩핀테크 랩

    더보기

    은행과 금융권에서 핀테크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해 업무공간과 테스트 환경, 멘토링, 투자유치 연계 등 직....

    은행과 금융권에서 핀테크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해 업무공간과 테스트 환경, 멘토링, 투자유치 연계 등 직,간접투자 등을 제공하는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