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상

home(코스콤)

금융IT 용어를 중심으로 IT용어사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용어사전은 용어명, 풀이, 설명으로 구성됩니다.

용어사전 검색

검색을 원하시는 초성을 선택해 주십시오

검색

영문

  • 데이터 스크래핑데이터 스크래핑

    더보기

    고객이 자신의 인증 정보를 한 번만 제공하면 컴퓨터가 고객이 이용하는 금융사에 접속해서 흩어져 있는 정보....

    고객이 자신의 인증 정보를 한 번만 제공하면 컴퓨터가 고객이 이용하는 금융사에 접속해서 흩어져 있는 정보를 모아 제공하거나 가공하는 기술로써, 이용자가 인증 정보를 핀테크 업체 서비스에 입력,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필요한 서비스에 접속 시 활용하는 방식. 핀테크 기업이 개인 고객 대상 자산‧신용 관리 서비스를 대거 선보이면서 트래픽 문제 등을 해결을 위해 최근 인증 주체가 핀테크 업체에서 정보 주체인 이용자로 변경됨에 따라 고객 정보접근권을 정보 주체가 확보하고 스스로 통제가 용이한 표준 API 방식으로 전환하고자 함.

  • 데이터 전문기관데이터 전문기관

    더보기

    2020년 8월 5일 신용정보법 개정안 시행에 맞춰 여러 기업,산업 간 데이터 결합을 전문적으로 지원하고....

    2020년 8월 5일 신용정보법 개정안 시행에 맞춰 여러 기업,산업 간 데이터 결합을 전문적으로 지원하고 정보의 가명,익명 처리 적정성을 평가하는 업무 등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개정 신용정보법이 시행되면 안전하게 활용가능한 익명,가명정보 개념을 도입하고, 정부가 지정한 데이터 전문기관을 통해 기업간 가명정보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익명정보는 제한없이 자유롭게 활용 가능하며, 가명정보는 통계작성, 연구, 공익적 기록보존 등 목적에 한하여 정보주체 동의없이 활용 가능하다. 데이터 결합을 원하는 A,B 회사가 있을 경우 양 회사가 직접 결합을 하는 게 아니라, 데이터 전문기관이 결합 업무 및 가명,익명 처리의 적정성을 평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뒤 데이터 전문기관이 A,B 회사에 결합 데이터를 보내주는 구조다. 금융회사 등이 데이터전문기관에 익명처리가 적정한지 여부에 대한 심사를 요청하면 심사통과시 익명정보로 추정된다.

  • 데이터 처리Data processing

    더보기

    데이터 처리(Data processing)는 데이터를 정보나 지식으로 바꾸는 컴퓨터 처리를 두루 가리키는....

    데이터 처리(Data processing)는 데이터를 정보나 지식으로 바꾸는 컴퓨터 처리를 두루 가리키는 용어이다

  • 데이터마트Data Mart

    더보기

    데이터 마트 (Data Mart, DM)는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DW) 환경에서....

    데이터 마트 (Data Mart, DM)는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DW) 환경에서 정의된 접근계층으로,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데이터를 꺼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마트는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부분이며, 대개 특정한 조직, 혹은 팀에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중앙 집중식 데이터 집합체를 뜻하며, 데이터 마트는 데이터 저장소의 역할을 한다. 데이터 마트는 사용 목적에 맞는 접근성과 사용성을 강조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전략적인 성격을 띄지만, 명확하지 않은 개념이다. 데이터 마트는 전술적이고 즉각적인 요구를 충족시킨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 데이터센터데이터센터

    더보기

    최근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전산업 분야의 컴퓨팅 수요 급증, 전산업 분야의 컴퓨팅 수요 급증, 빅데이터로....

    최근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전산업 분야의 컴퓨팅 수요 급증, 전산업 분야의 컴퓨팅 수요 급증, 빅데이터로 인한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 인공지능과 딥러닝 응용의 확산, 클라우드 기반의 응용 확산, 자율주행차와 스마트 시티의 확산 등에 따라 데이터센터 시장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메타는 사용자가 생성한 대량의 콜드 데이터(접근 빈도가 높지 않은 데이터)를 버리지 못하고 보관해야 하므로 지속적으로 데이터센터를 구축해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개별 전산실에서 유지되던 모든 조직의 정보 시스템이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패러다임 시프트(Paradigm Shift)가 일어나면서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IBM, 오라클 등의 글로벌 기업들이 한국의 데이터센터 상면을 대량으로 임대하기도 하고 아예 자체 데이터센터를 신축하는 경우도 급증하고 있다.

  • 데이터셋Data set

    더보기

    흩어진 데이터를 하나의 주제로 맞춰 정비하여 분야별 혹은 주제별로 모아놓은 데이터 집합체. 이를 활용하여....

    흩어진 데이터를 하나의 주제로 맞춰 정비하여 분야별 혹은 주제별로 모아놓은 데이터 집합체. 이를 활용하여 인공지능(AI), 머신러닝 등의 알고리즘 구축. 미국에는 괴짜(geek)들의 UFC(종합격투기대회)라고 불리는 머신러닝 및 데이터 사이언스 경진플랫폼인 캐글(Kaggle)이 있고, 우리 나라에는 이 캐글을 벤치마킹해 2018년에 설립된 국내 데이터 사이언스 경진 플랫폼인 데이콘(Dacon)이 있음

  • 데이터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더보기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란 사용자의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기간시스템의 ....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란 사용자의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기간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데이터를 공통의 형식으로 변환해서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 줄여서 DW로도 불린다.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업무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추출해서 가공된 데이터 형태로 구성되는 업무 분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관련자들이 업무 처리와 관련된 데이터들은 잘 저장하지만, 저장된 데이터들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어떻게 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을 보다 유익하게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가하는 관점에서 시작한 개념으로써, 1980년대 후반 IBM에서 도입한 개념에서 시작되었다.  

  • 데카콘Decacorn

    더보기

    유니콘보다 10배 이상의 가치를 지닌 기업으로 기업가치 100억달러 이상의 기업.

    유니콘보다 10배 이상의 가치를 지닌 기업으로 기업가치 100억달러 이상의 기업.

  • 도메인Domain name

    더보기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은 넓은 의미로는 네트워크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는 호스트명을 가리키며,....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은 넓은 의미로는 네트워크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는 호스트명을 가리키며, 좁은 의미에서는 도메인 레지스트리에게서 등록된 이름을 의미한다. 등록된 도메인 네임은 보통 호스트명의 일부분으로, DNS 상에서 해당 호스트명 및 그 하위의 호스트명들은 일반적으로 해당 등록자에게 권한이 주어진다. 도메인 레지스트리는 도메인 네임의 종류에 따라 국제 인터넷 주소자원 관리기관(ICANN)과 해당 국가 기관으로부터 승인을 받아, 일반 사용자들의 도메인 등록을 위임받는 역할을 한다. 이런 도메인 네임은 숫자로 된 IP 주소에 비해 외우기 쉬우며, 여러 개의 IP 주소가 한 도메인에 대응되거나 (서브 도메인) 여러 도메인이 하나의 IP 주소로 대응되는 (가상 호스트) 것도 가능하다.

  • 디지택트Digital-Contact

    더보기

    디지털(Digital)과 콘택트(Contact)의 합성어로, 코로나19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모든 세....

    디지털(Digital)과 콘택트(Contact)의 합성어로, 코로나19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모든 세상이 디지털로 연결된다는 의미이다. 최근 4차산업혁명 컨퍼런스에서 카카오뱅크의 윤호영 대표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모든 세상이 디지털로 연결된 디지택트(Digital-Contact) 시대가 왔다고 진단하면서 금융업에서도 접근성 확대가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1. 1
  2. 2
  3. 3
  4. 4
  5. 5
  6. 6
  7. 7
  8. 8
  9. 9
  10. 10